바이비트 펀딩비, 스탑로스 사용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이비트 펀딩비, 스탑로스 등 바이비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바이비트는 해외 거래소이기 때문에 한글 지원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포기하기에는 너무나도 다양한 기능이 있죠.
게다가 바이비트는 해외거래소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할 수 없는 선물 거래가 가능하니, 이번 포스팅을 잘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바이비트 마스터가 될 수 있을 겁니다.
그리하여 오일은 바이비트 사용법부터
시작하여 바이비트 펀딩비, 스탑로스 설정방법까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1. Earn
2. 런치패드
3. 런치풀
4. 바이비트 펀딩비, 스탑로스
1. Earn
첫 번째로 Earn입니다. 직역하면 돈을 벌다 인데요.
실제로도 비슷합니다.
보시다시피 가상화폐 리스트가 있고,
옆에는 ARP(연간 이율)이 나와 있습니다.
즉, 이는 예치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코인을 맡기고, 매일 보너스를 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그 보너스의 이율이 위의 사진과 같습니다.
은행에서는 절대 찾아볼 수 없는 수치죠.
특히 USDT, USDC, DAI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도
Earn이 가능하니 참고해 두시면 좋습니다.
왜냐하면,
스테이블 코인은 환율을 제외한
시세 변동이 없는 가상화폐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씀해 드리자면, 달러 코인과 같습니다.
그러니 달러가 오를 것 같다면 USDT를 사서
바이비트에 맡겨두면 됩니다.
(환차익 + 이율까지 먹을 수 있죠.)
돈 벌 방법은 역시 많이 있습니다.
2. 런치패드
다음으로는 런치패드입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바이비트의 가장 큰 꿀통이죠.
우리말로는 코인 공모주 정도가 되겠습니다.

이렇게 MAK라는 상장될 코인을 사기 위해
MNT 혹은 USDT를 바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둘 다 Commit할 수도 있습니다.)
당첨될 경우 MNT or USDT가 공제되고,
MAK라는 가상화폐를 받게 됩니다.
참고로 글을 쓰는 시점에서 Ongoing입니다.
진행 중이라는 뜻이니 한 번 보시길 바랍니다.
솔직히 요즘같은 하락장에서는
개별 코인을 대상으로 트레이딩하는 거 보다
이런 게 더 돈이 잘 될 겁니다.
여담으로 MNT는 바이비트에서
발행하는 거래소 코인입니다.
현재 시세가 상당히 많이 떨어졌죠.
고점 약 1.5불에서 0.6불까지 하락했습니다.
50% 이상 폭락했습니다만,
다행히 이제는 큰 움직임은 없습니다.
따라서 횡보하는 구간인가 싶기도 합니다.
담아도 좋을 자리인 것 같습니다만,
책임은 제가 지지 않으니 참고만 하시길…!
3. 런치풀
세 번째로 런치풀입니다.
런치패드와 비슷하지만, 살짝 다릅니다.
그 차이점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최상급 꿀통이니 정독하셔야 합니다.
아까와 다르게 총 3가지의 코인이 있습니다.
MNT, USDT는 공통적으로 있습니다만, 추가로 ORDER이 있는데요.
런치풀에서는 상장될 코인을 예치하고,
상장될 코인을 이율로 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상 Earn과 런치패드가 결합된 방식입니다.
그리고 APR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연이율이 정말 말도 안 되게 높습니다.
USDT만 예치하셔도 36%가 넘어가죠.
따라서 무조건 하셔야 하는 이벤트입니다.
참고로 ORDER는 이미 상장되었습니다.
상장 직후 약 0.25불까지 갔었습니다.
바로 던졌으면 짭짤했겠죠?
여기까지 바이비트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자, 이제 펀딩비 + 스탑로스 설명을 해야겠죠.
4. 펀딩비, 스탑로스
지금 보시는 화면은 바이비트 선물거래 창입니다.
여기서 Funding Rate를 살펴봐 주시길 바랍니다.
-0.0067%와 00:59:16이 보일 겁니다.
이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바이비트 공식 설명은 너무 불친절하더군요.
그리하여 제가 아주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펀딩비는 8시간에 한 번씩
투자자가 유지하고 있는 포지션에 따라
부과되는 수수료입니다.
(퍼센티지의 수치만큼 내면 됩니다.)
이때 펀딩비는 양수/음수로 나뉘는데요.
펀딩비가 +일 경우, 롱(Long) 포지션 투자자가
숏(Short) 투자자에게 펀딩비을 지급합니다.
반대로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에는
거꾸로 해석하시면 되겠습니다.
더불어 이 펀딩비는 레버리지가
상승하면 이에 비례하여 곱해집니다.
즉, -0.0067%을 10배로 공매도하게 되면
8시간마다 -0.067%를 지불하게 됩니다.
생각보다 펀딩비로 인해
포지션 유지 비용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선물 거래로 장투하는 건 비추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탑로스입니다.
선물 거래를 하시면 위와 같은 메뉴가 보입니다.
TP/SL인데요.

TP는 Target Price(목표가)입니다.
SL은 Stop Loss(손절가)입니다.
원하는 시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혹은 퍼센트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예시로 아무렇게나 해보았습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59,889.70 불에 도달할 경우
저의 포지션은 강제로(?) 익절하게 됩니다.
반대로 BTC 가격이 58,354.80불 도달 시
자동으로 손절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바이비트 펀딩비, 스탑로스까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바이비트 펀딩비 여기까지 알아보셨다면
바이비트에서 선물 투자를 비롯한
다양한 투자 방식을 알게 되셨는데요.
이번 글로 알게된 바이비트 펀딩비 내용을 토대로
더욱 재밌는 코인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바이비트 가입 전에 해당 링크로 가입을 진행하시면 수수료 2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꼭 아래의 링크로 가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가입 이후에는 수수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꼭 가입 전 수수료 할인 혜택을 받으세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